본문 바로가기
사회

2024년 다문화.한부모가족지원 확대

by 초보아닌초보맘 2023. 10. 6.
반응형

다문화. 한부모가족 지원, 아이 돌봄 서비스 대폭 확대

 

 

안녕하세요 :)

오늘은 2024년 한부모 가족지원 대폭확대 관련해서 알아보고 안내해드리고자 합니다.

올해 2023년보다 조금더 확대 되어 지원된다고 하니,

해당되시는 분들께 좋은 정보이길 바랍니다.

 

 

 

 

 

 


 

√한부모. 다문화 가족 지원확대는

 

 

 

● 한부모 가족 아동 양육비 등 복지급여 지원 확대 5,356억 원 (중 397억 원)

● 다문화 가족 자녀 성장 단계별 지원 및 결혼 이민자 맞춤형 취업지원 485억 원(중 278억 원)

● 취약위기 가족 통합 사례관리 신규 지원 및 공동육아 나눔터 확대 343억 원(중 239억 원)

 

한부모 가족의 안정적 자녀 양육 지원을 강화하기 위하여 한부모 가족 아동양육비 지원 대상을

중위 소득 60%에서 63% 이하로 확대하고, 만 18세 이상 자녀도 고등학교 재학 중인 경우

아동 양육비를 지원합니다. 

아동 양육비 지원 단가는 월 20만원에서 21만 원으로 상향합니다.

 

다문화 가족 자녀의 성장 단계에 맞추어 취학 전부터 기초학습을 지원 (138개소->168개소)하고,

정서. 진로 상담(113개소->143개소)을 확대합니다.

저소득 다문화 가족 자녀에게 교육활동비를 신규로 지원하며, 다문화 가족 자녀가 가진 강점을 개발할 수 있도록

이중언어 학습지원을 신규로 제공합니다. 결혼이민자 맞춤형 직업 훈련과정을 신설하여

취업지원도 강화합니다.

 

지역단위에서 가족의 유형별 서비스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부모. 조손. 다문화. 1인가구 등 대상별로

지원해 오던 사례관리 사업을 통합. 취약. 위기가족 통합지원 사업을 신규로 추진(가족센터 180개소)합니다.

지역사회 중심의 자녀 돌봄 지원을 위해 공동양육 나눔터(395개소->435개소)를 확대합니다.

 

 

 

√ 저출산 대응 및 일자리 지원은

 

 

 

● 아이 돌봄 서비스, 다자녀 추가 정부지원, 지원가구 확대 및 돌봄수당 인상 4,678억원(중1,132억 원)

● 신기술 미래유망 직종 직업교육훈련 과정 확대 등 217억 원(중 3억 원)

 

아이 돌봄 서비스는 중위소득 150%이하의 가구에 대해 소득에 따라 차등지원하고,

두 자녀 이상 가구에게 본인부담금의 10%를 정부가 추가 지원합니다.

아이돌봄 지원 가구도 확대(8만 5천 가구->11만 가구)하고, 돌봄 수당을 9,630원 에서 10,110원으로 인상합니다.

 

디지털 전환 가속화 등 노동시장 변화에 대응하여 여성새로 일하기 센터 신기술 미래 유망 직종 고부가가치 

직업교육 훈련 과정을 확대(74개->79개)합니다.

 

 

 

 

√ 위기청소년 맞춤형 지원강화는

 

 

 

 

●자살. 자해 등 고위기 청소년 맞춤 강화 25억 원(중 22억 원)

● 은둔. 고립 청소년 원스톱 패키지 지원 신규 실시 11억 원 및 위기청소년 특별지원확대 43억 원(중 7억 원)

● 쉼터 퇴소 청소년 자립지원 수당 6억 원(중 2억 원) 및 취약계층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지원 확대 148억 원(중 12억 원)

 

위기청소년 종합 심리진단 프로그램 운영기간을 확대하고, 자살. 자해 고위기 청소년과 부모등

가족에 대한 정서지원까지 포괄하는 집중 심리클리닉을 본경 운영합니다.

 

위기 청소년 특별지원 대상을 은둔 청소년, 저소득 한부모 가족의 자녀까지 확대하고 

은둔. 고립 청소년 맞춤형 지원 사업을 신규 실시 합니다.

 

청소년 복지시설 퇴소 청소년의 자립지원 강화를 위해 자립지원수당(월 40만 원)을 확대

취약계층 여송청소년 생리용품 정부 지원을 확대(187천 명->201천 명) 합니다.

 

 

 

 

√ 폭력 피해자 맞춤형 지원 강화

 

 

 

● 스토킹 피해자의 일상회복 지원을 위한 특화 서비스 전국 확대 24억 원(중 10억 원)

● 성폭력 피해 아동. 청소년 영상증인신문 지원 확대 17.7억 원(중 4.7억 원)

● 가정폭력 피해자 동반 아동 자립지원금 신설 5억 원

 

스토킹 피해자의 안전한 일상 회복 지원을 위해 긴급주거지원 서비스를 전국으로 확대하고 CCTV 등 

시설안전도 지원합니다.

 

24시간 365일 운영하는 여성긴급전화 1366 센터와 해바라기센터를 각 1대 소 추가로 설치하고

해바라기센터에서의 영상증인신문 지원을 확대합니다.

 

가정폭력 피해자 자립지원 강화를 위해 보호시설 퇴소 시 피해당사자에게 지원하던 자립지원금을

피해자 동반 아동까지 확대지원합니다.

 

신종, 복합, 고난도 폭력 피해 발생 대응을 위해 폭력 피해자 통합지원을 확대합니다.

 

 

 

 


여성가족부에서 조금 더 지원을 조금더 확대 하는 만큼 필요한 많은 분들이 혜택을 받았으면 좋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이 업데이트되는 대로 다시 한번 세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애인직업 생활 상담원  (0) 2023.10.14
2024년 부모급여  (0) 2023.10.11
주택 우선 공급 지원  (1) 2023.09.30
대학생 신용회복 지원  (0) 2023.09.25
치매 치료관리비 지원  (0) 2023.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