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청년월세지원

by 초보아닌초보맘 2023. 7. 19.
반응형

서울시 청년월세 지원

 

 

 

안녕하세요 :)

 

오늘은 무주택 청년 월세 지원 관련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많은 청년들이 내 집이 없어서 주거 환경이 안 좋을 때도 있고, 열악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물론 잘사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 당장 내가 살 공간이 없다고 하시면 이번 지원 제도에 관심을 갖고 보시면 좋겠습니다.

 

 

 

 


서울시 청년 월세 지원이란

 

 

무주택 청년 월세 지원 제도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어려운 경제 여건 속에서도 학업이나 취업 준비 근로 등 본연의 삶을 꾸려나가는 

청년들을 위해 전국적으로 시행하는 한시적 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서울시에서 주관하는 제도와 비교하면 소득 요건이 까다롭지만 지원 기간은 동일합니다.

무주택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이나 전세거주자 행복주택 입주자와

지자체에서 시행하는 임차료 지원 혜택을 받고 있는 청년 들은 제외됩니다.

서울시 청년 월세지원 제도는 기수금자는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서울시 청년 월세 지원대상은

 

서울시에서 지원하기 때문에 서울시에 주민등록등본상 거주해야 합니다.

실거주를 서울시에서 하고 주소는 다른 지역으로 되어있으면 안 됩니다.

만 연령은 출생일이 아니고 , 출생 연도 기준입니다.

1984년 1월 1일부터 2004년 12월 31일 생까지 가능합니다.

임차 보증금은 5천만 원 이하에 월세는 60만 원 이하의 무주택자 대상입니다.

보증금 환산액이 81만 원 이하까지는 가능합니다.

보증금 x5.25%÷12개월 + 월세입니다.

예시로 보증금 4천만 원에 월세 62만 원이면 위계산대로 하게 되면 79,500원으로 

81만 원 이하라서 가능합니다.

중위소득 기준 150%입니다.

 

 

 

 

지원 금액과  신청은

 

서울시 청년 월세 지원 금액은 월 20만 원 지원을 합니다.

최대 10개월로 생이 1회만 가능합니다.

월세가 20만 원 미만이라면 월세만큼만 지원이 됩니다.

매달 나가는 주거비용에서 한 달에 20만 원 지원이라면 생활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모집인원은 25,000명입니다.

2022년 8. ~23.8입니다. 1년 기간이 있습니다.

신청은 온라인 신청으로 가능합니다.

서울 주거 포털 내 청년월세 지원 란에서 지원 신청 후 마이페이지에서 신청확인이 가능합니다.

복지로에서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신청서류 및 절차는

 

 

주민등록등본 뒷자리를 지우고 PDF 파일로 등록하시면 됩니다.

임대차계약서 확정일자 날인된 것 1부가 필요합니다. 주민센터나 인터넷 등기소에서 발급 가능합니다.

월세 이체증 월세 납부확인서가 필요합니다. 신청일 기준 최근 3개월 내역이 나오면 됩니다.

가족관계증명서 1부가 필요합니다. 신청일 기준 이후 발급 한 것으로 하면 됩니다.

위 3가지 서류는 필수 서류입니다.

주민등록등본은 

만 19세~39세 이하 청년인 형제자매 및 동거인이 있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제출합니다.

절차는 접수 후 소득조사가 이루어지며 결과에 따라 통보합니다.

이의 신청 접수가 가능하며 최종 선정자를 발표합니다.

 

 

사업신청 제외 대상자는

 

 

국토 교통부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금 수급 중이거나 수급이력이 있는 사람

서울시 청년 월세 지원금 기 선정자로 수급이력이 있는 사람

신청인 본인 주택 소유, 분양권 또는 조합원 입주권이 있는 사람

신청자 본인 일반 재산 총액이 1억 원을 초과하는 사람

(토지과세표준액, 건축물과세표준액, 임차보증금, 차량시가표준액)

신청자 본인 차량시가 표준액이 2,500만 원 이상의 자동차를 소유한 사람

국민 기초 생활 수급을 받고 있는 사람

국민기초생활 수급자 중 교육급여 대상자는 신청이 가능합니다.

서울시 청년 수당을 받고 있는 사람, 은평형 청년월세 지원자로 선정된 사람

행복주택, 전세임대주택, 매입임대주택, 역세권 청년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사회적 주택, 희망하우징, 공무원 임대주택 등 공공임대 주택에 거주하는 사람

역세권 청년 주택등 민간 임대 주택 거주자는 신청가능합니다.

임대인이 신청인의 부모인 경우

공동임차인 모두 신청하는 경우

기타 사업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입니다.

 

 

 

 

 


서울시 포함 전국 무주택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청년 월세 한시 특별 지원 사업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보다 자세한 건 

서울 주거 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준들이 조금 타이트 한경우도 있는 거 같습니다.

하지만 그중에 속하는 사람은 생에 한번쯤은 받아볼 수 있으니 신청해 보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저는 서울에 살았을 때 이러한 지원혜택을 한 번도 받아본 적이 없네요.

매월 부담하고 있는 월세를 지원받으며 추후 내 집 마련을 꿈꾸는 모든 청년들이 되길 바랍니다.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합문화 이용권 지원(문화누리)  (0) 2023.07.21
청년마음건강 지원  (0) 2023.07.20
재난적 의료비 지원  (0) 2023.07.18
어촌생활 돌봄지원  (0) 2023.07.17
서울엄마아빠택시 지원  (0) 2023.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