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2023년 출산지원금 혜택은?

by 초보아닌초보맘 2023. 7. 11.
반응형

2023년 출산지원금

 

 

 

안녕하세요 :)

이미 2023년 이 반이 훌쩍 지나갔는데요.

하지만 아직도 임신 및 출산은 진행 중이라고 생각하며 이번에는 정부에서 받을 수 있는

출산 지원금에 대해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결혼 시에도 좋은 혜택이 있는데요.

결혼 후 임신하고 두 사람에게서 사랑스러운 자녀의 탄생인 출산도 똑같은 혜택을 받아야 되겠죠.

 

출산 지원금은 부모 급여나 아동수당 말고도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전국 공통적인 지원금도 있지만 각각의 지자체 및 지역에서만 받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더욱더 자세히 알고 싶다고 하면 동사무소나 행정복지센터 방문하면 자세히 알려줍니다.

저 역시 출산을 했던 사람으로서 제가 혜택 받을 때와 현재의 출산 지원금이 틀린 걸 알게 되었습니다.

 

은근히 모르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꼭 알고 좋은 혜택들 많이 받아가시면 좋겠습니다.

 

 

 

 


첫 만남 이용권은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주민등록번호를 받은 모든 아이들은 200만 원 상당의 바우처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자의 카드로 지원금이 적립이되 사용가능하고 

아동 복지시설에 보호하는 아동의 경우에는 해당 아동의 명의로 된 계좌에 현금으로 적입이 됩니다.

 

거주지 주민센터에서 신청가능하고,

태어난 날로부터 1년간 사용이 가능합니다.

1년 후에는 잔액이 자동 소멸되기 때문에 기한 안에 사용하면 됩니다.

 

단란주점이나, 사행성, 레저업종을 제외한 모든 곳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출산 후 요양원에서 결제가 가능합니다.

 

쌍둥이 임신의 경우 400만 원 세 쌍둥이 임신은 600만 원까지 

지원이 됩니다.

 

 

국민행복카드는

 

국민행복카드는 보육료 결제, 유아 학비, 건강보험료, 의료원비 혜택등

정부 바우처 지원을 한 번에 사용할 수 있는 통합 카드입니다.

아이를 키우시면 바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꼭 신청해야 합니다.

 

각 카드사에서도 신청이 가능하지만 

출산전문 사이트인

베베폼이나 미즈 톡톡,베팡,두리셋 등에서 발급을 받게 되면 사은품도 같이 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금은 단태아는 100만 원, 다태아는 140만 원이고 출산 후 2년까지 사용가능합니다.

분만 취약지의경우에는 20만원을 추가로 지급 받을수있다고 합니다.

 

 

 

아동수당은 

 

소득 상관없이 만 0-7 세까지 8년 동안 매월 10만 원씩 지급이 됩니다.

단 해외체류 90일 이상이 되면 지급이 중단됩니다.

2023년부터는 아동수당을 받을수있는 나이가 만 8세미만까지 지급이 된다고합니다

0개월부터 95개월까지 인당으로 매월 10만원씩 받는 수당입니다.

만 8세 초등학교 2학년 생일 전까지 지급받게 됩니다.

생일 이후 만 8세가 되면 지급이 바로 중단된다고 합니다.

생일 전 달까지만 지급이 되기때문에 생일달은 제외하면 됩니다.

 

지급일의 경우 매월 25일 등록한 통장에 입금이 되고 

오전 8시에서 10시사이로 입금이 됩니다.

지역별로 차이는 있을수있습니다.

 

부모급여는

 

부모급여는 출산이나 양육으로 인한 소득 감소를 보전하기위해 가정에서 양육자와 아이가 함께하는

시간을 보장하고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기위해 도입되었습니다.

만 0세가되는 아동은 월 70만원을 지급하고, 만1세가 되는 아동은 월 35만원을 지급받게 됩니다.

내년 24년부터는 지원금액이 확대되어 만 0세아동은 월 100만원,1세아동은 월 50만원을 지급합니다.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경우 만0세,만1세 모두 51만4천원의 보육로 바우처를 받을수있습니다.

만 0세의 부모급여 70만원이 보육료 바우처 지원금액보다 커서 

차액인 18만6천원을 현금으로 받을수있습니다.

 

 

영아수당및 혜택

 

가정양육수당이라고도 하는데요.

태어나서부터 11개월 까지 20만 원

12개월에서 23개월인 두 돌 전까지 15만 원

두 돌 후 23개월부터 35개월까지 10만 원

36개월부터 86개월까지 10만 원이 지원되고 있습니다.

 

이외에 따로 보건소 및 세금감면 혜택도 받을 수 있는데요

보건소에서는 엽산제를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각 지자체에서 행사하고 있는 농산물 꾸러미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세금혜택의 경우 전기요금 인하도있습니다.

또한 자동차 취득세도 경감이 가능합니다. 

다자녀의 경우 승차정원 7명이상 10이하인 승용차경우 감면신청이 가능합니다.

 

 

 

 

 


두 사람의 축복 속에 태어난 아이들에게 정부가 이렇게 많은 지원금을 주려고 노력한다는 걸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낮은 출산율로 아직도 혜택은 미미하다고 생각하는 점도 있을 텐데요

몇 년 전까지만 해도 60만 원이었던 

국민행복카드 지원금이 100만 원으로 올랐단 건 좋은 거 같습니다.

앞으로도 정부에서는 출산 장려 지원금의 혜택을 더 많이 늘릴예정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 발전을 위해서라도 출산율이 높아지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년도가 바뀌면 지원금의 혜택 또한 변경이 있을 거 같습니다.

물론 금액이 적어지진 않겠지요

 

사랑하는 사람과의 결혼 후 자녀 출산 시 나라에서 주는 혜택 

빠짐없이 전부 다 챙겨가면 좋겠습니다.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긴급생계 지원금 혜택  (0) 2023.07.13
올해9월 산후조리경비 100만원지원  (0) 2023.07.12
만원아파트_화순군  (0) 2023.07.10
전입장려금_화순군  (0) 2023.07.09
결혼지원금_화순군  (0) 2023.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