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산후조리 경비 100만 원 지원
안녕하세요 :)
저번 포스팅에는 출산 지원 관련에대해서 포스팅을 했는데요.
오늘은 서울시에서 올해 9월부터는 산후조리 경비까지 지원금이 나온다는 지원책을 발표했다고 합니다.
임신. 출산 과정에 당연히 겪게 되는 어려움을 덜어주고 임산부를 배려하는 문화확산을 위해
서울시에서 임산부 약 4만 2천여 명 및 출산가정을 위한 지원책이 나왔습니다.
이렇게 나라에서 산모와 출산후 가정까지
경제적으로 부담을 덜어주는 지원책이 나와서 너무나 좋은 것 같습니다.
서울시뿐만 아니라 점점 전국적으로 확대되면 하는 좋은 바람으로 이번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산모님들 출산하신 엄마들 모두 축복합니다.
산후조리 경비 100만원 지원은
보건복지부 조사결과 산모가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조사 결과 가장 높게 측정된게 사후 조리 경비 지원이라고 합니다.
출산 후 산모가 충분히 돌봄을 받으며 몸과 마음을 회복할 수 있도록 산호조리 경비를 지원합니다.
대상은 서울시 거주하는 모든 산모입니다.
서울이 주민등록을 6개월 이상 거주하는 분에 한한다고 합니다.
출산일기준으로 60일 이내 신청이 가능합니다.
소득기준은 따로 없습니다.
시행시기는 올해 9월 1일로 시행 예정이라고 합니다.
지원내용은 산후조리 경비 100만원이고,쌍둥이일 경우 200만 원, 세 쌍둥이 일경우 300만 원 지원한다고 합니다.
산후조리원뿐 아니라 산모도우미 서비스나, 의약품, 한약조제등
산모의 건강회복을 위하는 곳이면 어디든 사용 가능합니다.
고령산모 검사비 100만 원 지원은
고위험 산모들은 유산과 조산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여 나온 정책입니다.
고령 산모들은 상대적으로 저체중아이나 기형아를 출산할 확률도 더 큰 만큼
태아의 건강을 지키고 산모의 건강한 출산을 위해 필수 검사인
니프티검사, 융모막검사, 양수검사 등 검사비를
전국 최초로 지원합니다.
대상은 서울시 거주 만 35세 이상 산모이며
소득기준은 없습니다.
시행시기는 내년 2024년 1월 1일 예정이며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니프티검사, 융모막검사, 양수검사 등 검사비를 지원합니다.
둘째 아이 출산 시 첫째 아이 지원은
둘째 아이 이상을 임신, 출산하는 가정의 돌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의 아이 돌봄 서비스 (시간제, 영아종일제)
본인부담금을 50~100% 지원합니다.
많은 산모들이 둘째를 가지면 첫째 아이의 돌봄에 신경을 쓰지 못해
마음이 쓰인다고 하는데요 이러한 정책은 정말 다자녀 가정에 꼭 필요한 것 같아요.
대상은 둘째 이상 출산 가정이 입니다.
소득기준이 있습니다.
중위소득 150% 이하는 돌봄 서비스 전액이 무료지원 됩니다.
중위소득 150% 초과의 경우 본인부담금 50%만 지원이 된다고 합니다.
시행시기는 내년 24년 1월 1일 예정입니다.
임산부 교통비지원은
임산부들의 이동편의를 높이고
출산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임산부 교통비 지원을 철도까지 확대합니다.
대상은 서울시 거주하는 모든 산모 중 6개월 이상 거주하는 분들이고,
신청기한은 임신 3개월 12주 차부터 출산 후 3개월까지입니다.
소득기준은 없습니다.
시행시기는 현재 진행 중이며 바로 즉시 신청이 가능합니다.
사용처는 기존과 다르게 기차까지 확대가 되었다고 합니다.
지원 내용은 교통비 70만 원이며, 대중교통, 자가용유류비, 기차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신청방법은 임신기간 중에는
온라인신청과 방문신청 가능하고 정부 24 홈페이지나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지원 홈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방문신청은 관할 동 주민센터 방문하셔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출산 후에는 온라인은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며 방문신청은 관할 동 주민센터입니다.
임산부 배려공간 조성(신규정책)은
임산부들을 보다 세심하게 배려하고 안전사고를 미리 예방하기 위해
지하철역과 관공서, 박물관 등 공공시설 엘리베이터에 임산부 배려공간을 조성한다고 합니다.
임신을 하게 되면 보건소 방문 시에 분홍색으로 된 분홍 배지를 줍니다.
배가 나오지 않는다고 해서 임산부가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을 갖은 사람들이 많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이를 배려해 이러한 공간을 조성하고 해당 공간을 비워둠으로써
무거운 몸으로 이동거리를 최소함으로써 임산부의 피로도를 내려줄 수 있는 거 같습니다.
엘리베이터 내부 외부에 스티커를 부착하여 임산부를 우선적으로 배려하는 공간이라고 표시한다고 합니다.
서울시에서는 이렇게 임산부 다자녀 가정을 위한 좋은 정책을 내줘서 개인적으로 너무나
올바르고 좋은 정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전국적으로 빠른 시일 내에 확대되기를 바랍니다.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임부부 시술비지원 (0) | 2023.07.14 |
---|---|
긴급생계 지원금 혜택 (0) | 2023.07.13 |
2023년 출산지원금 혜택은? (0) | 2023.07.11 |
만원아파트_화순군 (0) | 2023.07.10 |
전입장려금_화순군 (0) | 2023.07.09 |